AJAX
비동기 프로그래밍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단 하나의 실행 컨텍스트 스택을 갖는다. 한 번에 하나의 태스크만 실행할 수 있는 싱글 스레드 방식으로 동작한다. 싱글 스레드 방식은 한 번에 하나의 테스크만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에 시간이 걸리는 테스크를 실행하는 경우 작업중단이 발생한다.
function sleep(func, delay){
const delayUtil = Date.now() + delay;
while(Date.now() < delayUtil );
func();
}
function foo(){
console.log('foo');
}
function bar(){
console.log('bar');
}
sleep(foo, 3 * 1000);
bar();
위 예제의 sleep 함수는 3초 후에 foo 함수를 호출한다. 이때 bar 함수는 sleep 함수의 실행이 종료된 이후에 호출되므로 3초 이상 호출되지 못하고 작업이 중단된다.
function sleep(func, delay){
const delayUtil = Date.now() + delay;
while(Date.now() < delayUtil );
func();
}
function foo(){
console.log('foo');
}
function bar(){
console.log('bar');
}
//sleep(foo, 3 * 1000);
//bar();
setTimeout(foo, 3*1000);
bar();
setTimeout 함수는 앞서 살펴본 sleep 함수와 유사하게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콜백 함수를 호출하지만 setTimeout 함수 이후의 태스크를 블로킹하지 않고 곧바로 실행한다. 이처럼 현재 실행중인 테스크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라 해도 다음 태스크를 곧바로 싱행하는 방식을 비동기 처리라고 한다.
타이머 함수인 setTimeout과 setInterval, HTTP 요청, 이벤트 핸들러는 비동기 처리 방식으로 동작한다. 비동기 처리는 이벤트 루프와 테스크 큐와 깊은 관계가 있다.
이벤트 루프와 태스크 큐
HTML 요소가 애니메이션 효과를 통해 움직이면서 이벤트를 처리하기도 하고, HTTP 요청을 통해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지고 오면서 렌더링하기도 한다. 이처럼 자바스크립트의 동시성을 지원하는 것이 바로 이벤트 루프다.
콜스택 (실행컨텍스트 스택) : 함수를 호출하면 함수 실행 컨텍스트가 순차적으로 콜 스택에 푸시되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단 하나의 콜 스택을 사용하기 때문에 최상위 실행 컨텍스트가 종료되어 콜 스택에서 제거되기 전까지는 다른 어떤 태스크도 실행되지 않는다.
힙 : 힙은 객체가 저장되는 메모리 공간이다. 콜 스택의 요소인 실행 컨텍스트는 힙에 저장된 객체를 참조한다.
태스크 큐: setTimeout이나 setInterval과 같은 비동기 함수의 콜백 함수 또는 이벤트 핸들러가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영역이다.
이벤트 루프: 이벤트 루프틑 콜 스택에 현재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가 있는지, 그리고 태스크 큐에 대기 중인 함수(콜백 함수, 이벤트 핸들러 등)가 있는지 반복해서 확인한다. 만약 콜 스택이 비어 있고 태스크 큐에 대기 중인 함수가 있다면 이벤트 루프는 순차적으로 태스크 큐에 대기 중인 함수를 콜 스택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콜 스택으로 이동한 함수는 실행된다. 즉, 태스크 큐에 일시 보관된 함수들은 비동기 처리 방식으로 동작한다.
function sleep(func, delay){
const delayUtil = Date.now() + delay;
while(Date.now() < delayUtil );
func();
}
function foo(){
console.log('foo');
}
function bar(){
console.log('bar');
}
//sleep(foo, 3 * 1000);
//bar();
setTimeout(foo, 0);
bar();
비동기 함수인 setTimeout의 콜백 함수는 태스크 큐에 푸시되어 대기하다가 콜 스택이 비게 되면, 다시 말해 전역 코드 및 명시적으로 호출된 함수가 모두 종료하면 비로소 콜 스택에 푸시되어 실행된다.
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때 싱글 스레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은 브라우저가 아니라 브라우저에 내장된 자바스크립트 엔진이라는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망냑 모든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자바스크립트 엔진에서 싱글 스레드 방식으로 동작한다면 자바스크립트는 비동기로 동작할 수 없다. 즉,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싱글 스레드로 동작하지만 브라우저는 멀티 스레드로 동작한다.
Ajax
Ajax는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Web API인 XMLHttpRequest 객체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XMLHttpRequest는 HTTP 비동기 통신을 위한 메서드와 프로퍼티를 제공한다. Ajax의 등장은 이전의 전통적인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전환했다. 즉, 서버로부터 웹페이지의 변경에 필요한 데이터만 비동기 방식으로 전송받아 웹페이지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부분은 다시 렌더링하지 않고, 변경할 필요가 있는 부분만 한정적으로 렌더링하는 방식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를 통해 브라우저에서도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과 유사한 빠른 퍼포먼스와 부드러운 화면 전환이 가능해졌다.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HTTP 통신을 위한 텍스트 데이터 포맷이다. 자바스크립트에 종속되지 않는 언어 독립형 데이터 포맷으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할 수 있다.
키와 값으로 구성된 순수한 텍스트다. JSON의 키는 반드시 큰따옴표로 묶어야 한다. 값은 객체 리터럴과 같은 표기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문자열은 반드시 큰따옴표로 묶어야 한다.
//JSON 표기 방식
{
"name": "Kim",
"age": 33,
"alive": true,
"hobby": ["traveling","tennis"]
}
//JSON.stringify
객체를 JSON 포맷의 문자열로 반환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객체를 전송하려면
객체를 문자열화해야 하는데 이를 직렬화라 한다.
const obj = {
name: "Kim",
age: 33,
alive: true,
hobby: ["traveling", "tennis"]
};
//객체를 JSON 포맷의 문자열로 반환한다.
const json = JSON.stringify(obj);
console.log(typeof json, json);
//string {"name":"Kim","age":33,"alive":true,"hobby":["traveling","tennis"]}
//객체를 JSON 포맷의 문자열로 변환하면서 들여쓰기 한다.
const prettyJson = JSON.stringify(obj, null, 2);
console.log(typeof prettyJson, prettyJson);
/*
string {
"name": "Kim",
"age": 33,
"alive": true,
"hobby": [
"traveling",
"tennis"
]
}
*/
//replacer 함수. 값의 타입 Number이면 필터링되어 반환되지 않는다.
function filter(key, value){
//undefined: 반환되지 않음
return typeof value === 'number' ? undefined : value;
}
//JSON.stringfy 메서드에 두 번째 인수로 replacer 함수를 전달한다.
const strFilterdObject = JSON.stringify(obj, filter, 2);
console.log(typeof strFilterdObject, strFilterdObject);
/*
string {
"name": "Kim",
"alive": true,
"hobby": [
"traveling",
"tennis"
]
}
*/
//JSON.parse메서드 JSON 포맷의 문자열을 객체로 변환한다.
const obj2 = {
name: "Kim",
age: 33,
alive: true,
hobby: ["traveling", "tennis"]
};
//객체를 JSON 포맷의 문자열로 변환한다.
const json2 = JSON.stringify(obj);
//JSON 포맷의 문자열을 객체로 변환한다.
const parsed = JSON.parse(json2);
console.log(typeof parsed, parsed);
//object {name: 'Kim', age: 33, alive: true, hobby: Array(2)}
XMLHttpRequest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HTTP 요청 전송과 HTTP 응답 수신을 위한 다양한 메서드와 프로퍼티를 제공한다.
//XMLHttpRequest 객체 생성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HTTP 요청 초기화
xhr.open('GET', 'users');
//HTTP 요청 헤더 설정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전송할 데이터의 MIME 타입 지정: json
xhr.setRequestHeader('content-type','application/json');
//HTTP 요청 전송
//xhr.send();
xhr.send(JSON.stringfy({id:1, content:'HTML', compelted: false}));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per) API
REST는 HTTP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리소스에 접근하는 방식을 규정한 아키텍처고, REST API는 REST를 기반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한 것을 의미한다.
REST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적인 원칙은 두 가지다. URI는 리소스를 표현하는 데 집중하고 행위엥 대한 정의는 HTTP 요청 메서드를 토애 하는 것이 RESTful API를 설계하는 중심 규칙이다.
1. URI는 리소스를 표현해야 한다.
리소스를 식별할 수 있는 이름은 동사보다는 명사를 사용한다.
따라서 이름에 get 같은 행위에 대한 표현이 들어가서는 안된다.
2. 리소스에 대한 행위는 HTTP 요청 메서드를 표현한다.
HTTP 요청 메서드 | 종류 | 목적 | 페이로드 |
GET | index/retrieve | 모든/특정 리소스 취득 | X |
POST | create | 리소스 생성 | O |
PUT | replace | 리소스의 전체 교체 | O |
PATCH | modify | 리소스의 일부 수정 | O |
DELETE | delete | 모든/특정 리소스 삭제 | X |
//GET
<pre>123</pre>
<script>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xhr.open('GET', 'http://127.0.0.1:8080/kangong/hello');
xhr.send();
xhr.onload = () => {
if(xhr.status === 200){
document.querySelector('pre').textContent = xhr.response;
}else{
console.error('Error', xhr.status, xhr.statusText);
}
};
</script>
//Post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xhr.open('POST', 'http://127.0.0.1:8080/kangong/helloPost');
xhr.setRequestHeader('content-type','application/json');
xhr.send(JSON.stringify({id:4, content: 'Angular', completed: false}));
xhr.onload = () => {
if(xhr.status === 200 || xhr.status === 201){
document.querySelector('pre').textContent = xhr.response;
}else{
console.error('Error', xhr.status, xhr.statusText);
}
};
//Put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xhr.open('PUT', 'http://127.0.0.1:8080/kangong/helloPut');
xhr.setRequestHeader('content-type','application/json');
xhr.send(JSON.stringify({id:4, content: 'Put', completed: false}));
xhr.onload = () => {
if(xhr.status === 200){
document.querySelector('pre').textContent = xhr.response;
}else{
console.error('Error', xhr.status, xhr.statusText);
}
};
//Patch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xhr.open('PATCH', 'http://127.0.0.1:8080/kangong/helloPatch');
xhr.setRequestHeader('content-type','application/json');
xhr.send(JSON.stringify({id:4, content: 'Patch', completed: false}));
xhr.onload = () => {
if(xhr.status === 200){
document.querySelector('pre').textContent = xhr.response;
}else{
console.error('Error', xhr.status, xhr.statusText);
}
};
//Delete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xhr.open('DELETE', 'http://127.0.0.1:8080/kangong/helloDelete');
xhr.setRequestHeader('content-type','application/json');
xhr.send(JSON.stringify({id:4, content: 'Delete', completed: false}));
xhr.onload = () => {
if(xhr.status === 200){
document.querySelector('pre').textContent = xhr.response;
}else{
console.error('Error', xhr.status, xhr.statusText);
}
};
프로미스
비동기 함수 호출
비동기 함수를 호출하면 함수 내부의 비동기로 동작하는 코드가 완료되지 않았다 해도 기다리지 않고 즉시 종료된다. 즉, 비동기 함수 내부의 비동기로 동작하는 코드는 비동기 함수가 종료된 이후에 완료된다. 따라서 비동기 함수 내부의 비동기로 동작하는 코드에서 처리 결과를 외부로 반환하거나 상위 스코프의 변수에 할당하면 기대한 대로 동작하지 않는다.
//비동기 함수는 get요청을 전송하고 onload 이벤트 핸들러를 등록한 다음
//undefined를 반환하고 즉시 종료한다.
let todos;
//GET 요청을 위한 비동기 함수
const get = url => {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xhr.open('GET',url);
xhr.send();
xhr.onload = () => {
if(xhr.status === 200){
todos = JSON.parse(xhr.response);
} else {
console.error( `${xhr.status} ${xhr.statusText}` );
}
};
};
get('https://abc/post/1');
console.log(todos); //undefined
콜백함수 전달
서버로부터 응답이 도착하면 xhr 객체에서 load 이벤트가 발생한다. xhr.onload 핸들러 프로퍼티에 바인딩한 이벤트 핸들러가 즉시 실행되는 것이 아니다. xhr.onload 이벤트 핸들러는 load 이벤트가 발생하면 일단 태스크 큐에 저장되어 대기하다가, 콜 스택이 비면 이벤트 루프에 의해 콜 스택으로 푸시되어 실행된다.
이처럼 비동기 함수는 비동기 처리 결과를 외부에 반환할 수 없고, 상위 스코프의 변수에 할당할 수도 없다. 따라서 비동기 함수의 처리 결과에 대한 후속 처리는 비동기 함수 내부에서 수행해야 한다. 이때 비동기 함수를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비동기 처리 결과에 대한 후속 처리를 수행하는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필요에 따라 비동기 처리가 성공하면 호출될 콜백 함수와 비동기 처리가 실패하면 호출될 콜백 함수를 전달할 수 있다.
// 비동기 처리 결과에 대한 후속 처리를 수행하는 콜백함수 전달 방식
const getCallback = (url, successCallback, failureCallback) =>{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xhr.open('GET', url);
xhr.send();
xhr.onload = () => {
if( xhr.status === 200 ){
successCallback(JSON.parse(xhr.response));
} else {
failureCallback(xhr.status);
}
};
};
getCallback('https://abc/post/1',console.log, console.error );
콜백 헬
//callback Hell
const getHell = (url, callback) => {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xhr.open('GET', url);
xhr.send();
xhr.onload = () => {
if (xhr.status === 200) {
callback(JSON.parse(xhr.response));
}
console.error(`${xhr.status} ${xhr.statusText}`);
};
};
getHell('https://abc/post/1', ({userId})=>{
console.log(userId); //1
//post의 userId를 사용하여 user의 정보를 취득
getHell(`https://abc/users/${userId}`, userInfo => {
console.log(userInfo); //{id:1, name="lee daejung", ...}
getHell(`https://def/users/${userId}`, userInfo => {
getHell(`https://ghi/users/${userId}`, userInfo => {
});
});
});
});
에러 처리의 한계
비동기함수인 setTimeout이 호출되면 태스크 큐에 저장되고 콜백함수가 호출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종료된다. 이후 타이머가 만료되면 setTimeout의 콜백 함수가 태스크 큐로 푸시되고 콜 스택이 비어졌을 때 이벤트 루프에 의해 콜 스택으로 푸시되어 실행된다.
//에러 처리의 한계
try{
setTimeout(() => { throw new Error('Error:'); }, 1000);
}catch(e){
//에러를 캐치하지 못한다.
console.error('캐치한 에러',e);
}
프로미스의 생성
//프로미스의 생성
const 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Promise 함수의 콜백 함수 내부에서 비동기 처리를 수행한다.
if(/* 비동기 처리 성공 */){
resolve('result');
}else{ //비동기 처리 실패
reject('failure reason');
}
});
//GET 요청을 위한 비동기 함수
const promiseGet = url => {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const xhr = XMLHttpRequest();
xhr.open('GET', url);
xhr.send();
xhr.onload = () => {
if (xhr.status === 200) {
// 성공적으로 응답을 전달받으면 resolve 함수를 호출한다.
resolve(JSON.parse(xhr.response));
} else {
// 에러 처리를 위해 reject 함수를 호출한다.
reject(xhr.status);
}
};
});
};
// promiseGet 함수는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promise('https://abc/posts/1');
프로미스의 상태 정보 | 의미 | 상태 변경 조건 |
pending | 비동기 처리가 아직 수행되지 않은 상태 | 프로미스가 생성된 직후 기본 상태 |
fulfilled | 비동기 처리가 수행된 상태(성공) | resolve 함수 호출 |
rejected | 비동기 처리가 수행된 상태(실패) | reject 함수 호출 |
프로미스는 비동기 처리 상태와 처리 결과를 관리하는 객체다
프로미스의 후속 처리
프로미스는 후속 메서더 then, catch, finally를 제공한다. 프로미스의 비동기 처리 상태가 변화하면 후속 처리 메서드에 인수로 전달한 콜백 함수가 선택적으로 호출된다. 이때 후속 처리 메서드의 콜백 함수에 프로미스의 처리 결과가 인수로 전달된다.
1. Promise.prototype.then
then 메서드는 두 개의 콜백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는다.
1) 첫 번째 콜백 함수는 프로미스가 fulfiled상태가 되면 호출된다. 이때 콜백 함수는 프로미스의 비동기 처리 결과를 인수로 전달받는다.
2) 두 번재 콜백 함수는 프로미스가 rejected 상태(reject 함수가 호출된 상태)가 되면 호출된다. 이때 콜백 함수는 프로미스의 에러를 인수로 전달받는다.
//fulfilled
new Promise(resolve => resolve('fulfilled'))
.then(v => console.log(v), e => console.error(e)); //fulfilled
//rejected
new Promise((_,reject) => reject(new Error('rejected')))
.then(v => console.log(v), e => console.error(e)); //Error: rejected
then 메서드는 언제나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만약 then 메서드의 콜백 함수가 프로미스를 반환하면 그 프로미스를 그대로 반환하고, 콜백 함수가 프로미스가 아닌 값을 반환하면 그 값을 암묵적으로 resolve 또는 reject하여 프로미스를 생성해 반환한다.
2. Promise.prototype,catch
//rejected
new Promise((_, reject) => reject(new Error('rejected')))
.catch(v => console.log(v), e => console.error(e)); //Error: rejected
catch 메서드는 then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then 메서드와 마찬가지로 언제나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catch 메서드는 비동기 처리에서 발생한 에러(rejected 상태) 뿐만아니라 then 메서드 내부에서 발생한 에러까지 모두 캐치할 수 있다. 또한 then 메서드에 두 번재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것보다 catch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독성이 좋고 명확하다.
3. Promise.prototype.finally
finally 메서드는 한 개의 콜백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는다. finally 메서드의 콜백 함수는 프로미스의 성공(fulfilled) 또는 실패(rejected)와 상관없이 무조건 한 번 호출된다. finally 메서드는 프로미스의 상태와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수행해야 할 처리 내용이 있을 때 유용하다. finally 메서드도 언제나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finally
new Promise(() => {})
.finally(v => console.log('finally')); //finally
promiseGet('...')
.then(res => console.log(res))
.catch(err => console.error(err))
.finally(() => console.log("Bye!!"));
프로미스의 정적메서드
1. Promise.resolve / Promise.reject
//배열을 resolve하는 프로미스를 생성
const resolvedPromise = Promise.resolve([1,2,3]);
resolvedPromise.then(console.log); //[1,2,3]
//위와 동일
const resolvedPromise = new Promise(resolve => resolve([1,2,3]));
resolvedPromise.then(console.log); //[1,2,3]
//에러 객체를 reject하는 프로미스를 생성
const rejectedPromise = Promise.reject(new Error('Error!'));
rejectedPromise.catch(console.log); //Error: Error!
//위와 동일
const rejectedPromise = new Promise((_,reject) => reject(new Error('Error!')) );
rejectedPromise.catch(console.log);//Error: Error!
2. Promise.all
Promiss.all 메서드는 여러 개의 비동기 처리를 모두 병렬 처리할 때 사용한다.
const requestData1 = () =>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resolve(1),3000));
const requestData2 = () =>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2), 3000));
const requestData3 = () =>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3), 3000));
//세 개의 비동기 처리를 순차적으로 처리
const res = [];
requestData1()
.then(data => {
res.push(data);
return requestData2();
})
.then(data => {
res.push(data);
return requestData3();
})
then(data => {
res.push(data);
console.log(res); //[1,2,3] ==> 약 6초 소요
})
.catch(console.error);
const requestData1 = () =>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resolve(1),3000));
const requestData2 = () =>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2), 3000));
const requestData3 = () =>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3), 3000));
//세 개의 비동기 처리를 병렬로 처리
Promise.all([requestData1(), requestData2(), requestData3()])
.then(console.log) //[1,2,3] => 약 3초 소요
.catch(console.error);
Promise.all 메서드는 인수로 전달받은 배열의 프로미스가 하나라도 rejected 상태가 되면 나머지 프로미스가 fulfilled 상태가 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종료된다.
3. Promise.race
Promise.race는 Promise.all 메서드처럼 모든 프로미스가 fulfilled 상태가 되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가장 먼저 fulfilled 상태가 된 프로미스의 처리 결과를 resolve하는 새로운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Promise.race([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1), 3000)), //1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2), 2000)), //2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3), 1000)) //3
])
.then(console.log) //3
.catch(console.log);
4. Promise.allSettled
Promise.allSettled 메서드는 전달받은 프로미스가 모두 settled 상태(fullled 또는 rejected 상태)가 되면 처리 결과를 배열로 반환한다.
Promise.allSettled([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1), 2000 )),
new Promise((_,reject)=>setTimeout(() => reject(new Error('Error1')),1000))
]).then(console.log);
/*
[
{status:"fulfilled", value:1},
{status:"rejected", reason: "Error:Error1"}
]
*/
마이크로태스크 큐
//2 --> 3 --> 1
setTimeout(() => console.log(1),0);
Promise.resolve()
.then(() => console.log(2))
.then(() => console.log(3));
프로미스의 후속 처리 메서드의 콜백 함수는 마이크로태스크 큐에 저장되고 그 외의 비동기 함수의 콜백 함수나 이벤트 핸들러는 태스크 큐에 일시 저장된다. 마이크로태스크 큐는 태스크 큐보다 우선순위가 높다.
fetch
fetch 함수는 XMLHttpRequest 객체와 마찬가지로 HTTP 요청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사이 Web API다.
fetch 함수는 HTTP 응답을 나타내는 Response 객체를 래핑한 Promise 객체를 반환한다.
fetch('https://abc/posts/1')
.then(response => console.log(response.json()));
타이머
함수를 명시적으로 호출하면 함수가 즉시 실행된다. 만약 함수를 명시적으로 호출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호출되도록 함수 호출을 예약하려면 타이머 함수를 사용한다. 이를 호출 스케줄링이라 한다.
#타이머 함수
1. setTimeout/clearTimeout
const timeoutId = setTimeout(func|code[, delay, param1, param2,...]);
func: 타이머가 만료된 뒤 호출될 콜백함수 (콜백함수 대신 코드를 문자열로 전달할 수 있다. eval함수와
유사하며 권장하지는 않는다)
delay: 타이머 만료시간
param1,...: 호출 스케줄링된 콜백 함수에 전달해야 할 인수가 존재하는 경우 세 번째 이후의
인수로 전달할 수 있다.
예제1)
//1초 후 타이머가 만료되면 콜백 함수가 호출된다.
setTimeout(()=>console.log('H1!'),1000);
//콜백 함수에 'Lee'가 인수로 전달된다.
setTimeout(name=>console.log(`Hi! ${name}.`), 1000, 'Kim');
//두 번째 인수를 생략하면 기본값 0이 지정된다.
const timerId = setTimeout(()=>console.log('H1!'));
//setTimeout 함수는 생성된 타이머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타이머 id를 반환한다.
clearTimeout(timerId);
2. setInterval/clearInterval
setInterval 함수는 두 번째 인수로 전달받은 시간으로 반복 동작하는 타이머를 생성한다.
이후 타이머가 만료될 때마다 첫 번째 인수로 전달받은 콜백 함수가 반복 호출된다.
const timeoutId = setInterval(func|code[, delay, param1, param2,...]);
clearInterval(timeoutId);
디바운스와 스로틀
scroll, resize, input, mousemove 같은 이벤트는 짧은 시간 간겨으로 연속해서 발생한다. 이러한 이벤트에 바인딩한 이벤트 핸들러는 과도하게 호출되어 성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디바운스와 스로틀은 짧은 시간 간격으로 연속해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그룹화해서 과도한 이벤트 핸들러의 호출을 방지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button>click me</button>
<pre>일반 클릭 이벤트 카운터 <span class="normal-msg">0</span></pre>
<pre>디바운스 클릭 이벤트 카운터 <span class="debounce-msg">0</span></pre>
<pre>스로틀 클릭 이벤트 카운터 <span class="throttle-msg">0</span></pre>
<script>
const $button = document.querySelector("button");
const $normalMsg = document.querySelector(".normal-msg");
const $debounceMsg = document.querySelector(".debounce-msg");
const $throttleMsg = document.querySelector(".throttle-msg");
const debounce = (callback, delay) => {
let timerId;
return event => {
if(timerId) clearTimeout(timerId);
timerId = setTimeout(callback, delay, event)
};
};
const throttle = (callback, delay) => {
let timerId;
return event => {
if (timerId) return;
timerId = setTimeout(()=>{callback(event);timerId=null}, delay, event)
};
};
$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 $normalMsg.textContent = +$normalMsg.textContent + 1; });
$button.addEventListener('click', debounce(() => { $debounceMsg.textContent = +$debounceMsg.textContent + 1; }, 500));
$button.addEventListener('click', throttle(() => { $throttleMsg.textContent = +$throttleMsg.textContent + 1; }, 500));
</script>
</body>
</html>
디바운스: 짧은 시간 간격으로 이벤트가 연속해서 발생하면 이벤트 핸들러를 호출하지 않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이벤트 핸들러가 한 번만 호출되도록 한다. 즉 디바운스는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는 이벤트를 그룹화해서 마지막에 한 번만 이벤트 핸들러가 호출되도록 한다.
스로틀: 짧은 시간 간격으로 이벤트가 연속해서 발생하더라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벤트 핸들러가 최대 한 번만 호출되도록 한다. 즉, 스로틀은 짧은 시간 간격으로 연속해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그룹화해서 일정시간 단위로 이벤트 핸들러가 호출되도록 호출 주기를 만든다.
'Javascript > javascript Co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강의] 18강 Set과 Map (0) | 2022.02.05 |
---|---|
[Javascript 강의] 17강. use strict, Symbol, 스프레드 문법, 디스트럭처링 할당 (0) | 2022.02.04 |
[Javascript강의]15강.이벤트 (0) | 2021.10.12 |
[Javascript강의]14강. 클로저 (0) | 2021.10.11 |
[Javascript 강의]13 강 실행 컨텍스트 (0) | 2021.10.10 |